본문 바로가기
알면좋은

만나이 계산기, 만나이 계산하는 방법, 만나이 적용시 취학연령과 정년연령 변동될까?

올해 6월부터 만나이로 통일됩니다. 기존 나이보다 1살 2살정도 적어지는것이니까 좋다고 생각합니다. 다만 만나이를 적용하면 친구관계가 갑자기 형 동생 관계가 될 수 있답니다. 한국의 나이는 태어나면 1살이었습니다. 12월31일에 태어난 아기는 하루뒤 1월1일이 되면 2살이 되는것이 참 불합리했었죠. 그래서 만나이가 도입이 되었습니다.

 

만나이 계산기

그럼 만나이를 어떻게 계산할까요?

 

아주 간단합니다. 현재 햇수에서 내가 태어난 해를 빼면 만나이입니다. 거기서 만약 생일을 지나지않았으면 1살을 더 빼면 되고 생일을 지났으면  그대로 두면 됩니다.

 

예를 들어서 내가 1980년 5월5일 태어났다면 2023년 - 1070년 = 43세입니다. 그런데 아직 1월달로 생일이 안지나서 1살을 더 빼서 만나이는 42세가 되는겁니다.

 



 2023년을 기준으로 만나이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네이버 만나이 계산기를 활용하셔도 편리합니다.

 

만나이 계산기 바로가기

 

만나이 적용시기는 정확히 올해  6월28일부터 입니다. 만나이 적용으로 전 국민의 나이가 어려지는 효과가 있습니다.

 

그럼 정년과 초등학교 취학연령에도 영향을 미칠까요?

 

정답은 아닙니다. 정년과 초등학교 취학연령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나이로 적용한다고 합니다.

 

댓글